여름철 전기요금 폭탄 피하는 에어컨 사용하는 비법

여름철 전기요금 폭탄 피하는 에어컨 사용하는 비법

아아, 더워요 더워! 밖은 완전 찜통이네요. 저도 집에 오자마자 에어컨을 켰는데요. 전기요금 폭탄 맞을까 봐 덜덜 떨면서 켜는 분들 엄청 많을 거예요. ㅠㅠ 

한 달 내내 에어컨 맘껏 틀고 싶은데 누진세라는 무시무시한 녀석 때문에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죠. 에어컨 전기요금, 누진세 무서워하는 거 이제 그만하시고, 맘 편하게 시원하게 여름 보내시라고 제가 직접 이것저것 찾아보고 경험한 꿀팁들을 모아왔슴미다! 

이 글만 끝까지 읽어도 올여름 에어컨 요금 걱정은 절반 이상 줄어들 거예요.

1. 우리 집 에어컨은 '인버터'일까, '정속형'일까?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의 첫걸음은 우리 집 에어컨이 어떤 종류인지 아는 거더라고요. 에어컨 종류에 따라 사용법이 완전히 달라지거든요. 보통 2010년 이후에 나온 에어컨들은 대부분 인버터형이고, 그 이전에 나온 구형 에어컨들은 정속형이 많아요.

인버터 에어컨이라면 이렇게 사용하세요!

  •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 가동 최소화.
  • 설정 온도를 유지하며 전기를 덜 써요.
  • 껐다 켰다 하는 것보다 그냥 쭉~ 켜두는 게 전기세 절약에 훨씬 유리해요.
  • 약간 춥다 싶으면 1~2도만 올려주면 되구요.

정속형 에어컨이라면 이렇게 사용하세요!

  •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완전히 꺼져요.
  • 다시 더워지면 실외기가 처음처럼 강하게 작동.
  • 짧고 굵게! 시원하게 만들고 껐다가, 더워지면 다시 켜는 게 이득이랍니다.
  • 껐다 켰다 해도 괜찮은 유형입니다.

2. 에어컨과 이것, 같이 틀면 요금 폭탄 피한다?!

이거 진짜 꿀팁인데, 에어컨 혼자서는 효율이 별로거든요. 에어컨 틀 때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같이 틀면 시원한 공기가 훨씬 빨리, 골고루 퍼져요. 찬 공기는 아래로, 더운 공기는 위로 가려는 성질이 있는데 선풍기로 바람을 위로 보내주면 공기 순환이 잘 되면서 집안이 금방 시원해지더라구요.


3. 제습 모드는 전기세가 덜 나올까? 팩트체크!

저도 예전엔 제습 모드로 틀면 전기세가 덜 나오는 줄 알았거든요. 근데 그게 아니었슴미다! 제습 모드도 사실 냉방 모드랑 똑같이 실외기가 돌아가면서 습기를 제거하는 거라 전기 소모량에 큰 차이가 없다고 해요. 진짜진짜 습할 때만 제습 모드를 사용하는 게 좋다고 하네요. 무조건 전기세 아낀다고 제습 모드만 틀면 오히려 실내가 꿉꿉해지고 제대로 시원해지지도 않더라구요.


4. 여름철 에어컨 필터 청소는 필수 중 필수!

에어컨 필터에 먼지가 쌓이면 냉방 효율이 엄청 떨어지는 거 아셨나요? 필터가 먼지로 꽉 막히면 공기 순환이 잘 안돼서 에어컨이 더 열심히 돌아야 하거든요. 그러면 당연히 전기도 더 많이 잡아먹겠죠. 그래서 2주에 한 번씩 필터 청소만 해줘도 냉방 효율이 팍팍 올라가고 전기세도 꽤 아낄 수 있대요. 물로 싹싹 씻어서 그늘에 잘 말려주기만 하면 되니까, 완전 쉽죠!


5. 에어컨 전기세 절약, 이것만 기억하면 끝!

똑똑하게 사용하는 온도 설정

실내외 온도 차이는 5도 내외로 설정하는 게 좋대요. 그리고 희망 온도를 26~28도 정도로 맞추는 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너무 낮게 설정하면 에어컨이 쉬지 않고 돌아가서 전기세가 많이 나와요. 선풍기랑 같이 틀면서 적정 온도로 맞춰서 사용하는 게 최고임미다!


실외기 관리도 중요합니다!

실외기에 쌓인 먼지를 청소하는 것도 중요하대요. 먼지나 이물질이 실외기 통풍구를 막으면 에어컨 효율이 떨어집니다. 실외기가 햇빛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차광막을 설치해 주는 것도 좋고요. 실외기 온도가 낮아지면 에어컨이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니까요.


문과 창문은 꼭 닫기!

에어컨을 켜고 방문이나 창문을 열어두면 시원한 공기가 다 빠져나가서 냉방 효율이 뚝 떨어져요. 꼭 문과 창문을 닫고,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쳐서 외부 열이 들어오는 걸 막아주는 게 좋습니다.


6. 누진세, 얼마나 나올지 미리미리 확인하기

누진세 구간이 어디부터인지 모르면 무섭기만 하잖아요. 한국전력공사 사이트나 '한전:ON' 앱을 설치하면 매일매일 우리 집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대요. 이걸 보면서 누진 구간에 들어가지 않게 사용량을 조절하면 전기요금 폭탄을 충분히 막을 수 있겠죠?


7. 기타 자잘한 꿀팁들!

  • 에어컨을 켜기 전에 창문을 열어 환기.
  • 더운 공기를 빼내는 게 먼저예요.
  • 자주 껐다 켰다 하지 마세요.
  • 전력 소모가 젤 많을 때가 처음 켤 때입니다.
  • 대기전력도 무시 못해요.
  • 사용 안 할 땐 플러그를 뽑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8. FAQ 자주하는 질문

Q. 에어컨 타이머 기능 사용이 전기세 절약에 도움이 될까요?
A. 네, 아주 많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잠들기 전 1~2시간 후에 꺼지도록 설정해두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요. 인버터형 에어컨이라면 1~2시간만 틀고 끄기보다는 적정 온도로 설정하여 타이머를 걸어두는 게 효과적입니다.

Q. 에어컨을 잠깐 나갔다 올 때 끄는 게 좋을까요, 계속 켜두는 게 좋을까요?
A. 정속형이라면 잠깐 나갈 때 꺼두는 게 좋고, 인버터형이라면 30분~1시간 이내의 외출은 켜두는 게 오히려 절약에 도움이 돼요. 에어컨을 다시 켤 때 온도를 낮추기 위해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이랍니다.

Q. 에어컨 필터 청소는 꼭 해야 하나요?
A. 네, 필수입니다. 필터에 먼지가 쌓이면 냉방 효율이 60%까지 떨어질 수 있고, 전기세는 27%나 더 나온다고 해요. 2주에 한 번씩 필터 청소만 해줘도 전기요금 절약은 물론, 더 깨끗하고 시원한 바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Q. 선풍기랑 같이 사용하면 전기요금이 더 많이 나올 것 같은데요?
A. 아니에요! 선풍기는 에어컨의 냉기를 순환시켜 냉방 효율을 높여줘요. 에어컨이 희망 온도에 더 빨리 도달하게 도와 실외기 가동 시간을 줄여주기 때문에 오히려 전기요금 절약에 효과가 있습니다.

Q. 에어컨을 계속 틀어두면 누진세 폭탄 맞는 거 아닌가요?
A. 과거 정속형 에어컨 시대에는 맞는 말이었지만, 요즘 인버터형 에어컨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최소한의 전력만 사용해 온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껐다 켰다 하는 것보다 꾸준히 켜두는 게 더 효율적이고, 전기요금 누진세 걱정도 덜 수 있습니다.

이제 전기세 걱정하면서 덜덜 떨지 말고, 똑똑하게 에어컨 사용하면서 시원한 여름 보내보자구요. ^^ 이 글이 여러분의 시원한 여름에 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아참! 저도 오늘부터 필터 청소해야겠심다! ㅎㅎ

케빈

일상 생활정보 공유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