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구급함, 우리 가족 건강을 지키는 필수품

가정용 구급함, 우리 가족 건강을 지키는 필수품

예상치 못한 사고나 질병은 언제든 찾아올 수 있습니다. 특히 가정에서는 가벼운 상처부터 갑작스러운 통증까지 다양한 응급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처하려면 가정용 구급함은 필수입니다. 

단순한 약통이 아닌, 우리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든든한 버팀목이죠. 평소 구급함에 어떤 물품들을 준비해야 할지 막막하셨다면, 오늘 내용을 통해 꼼꼼하게 채워 넣어 보세요.

1. 상처 처치 용품,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가정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는 바로 상처입니다. 가벼운 긁힘이나 베임부터 시작해서, 꽤 깊은 상처까지 다양하죠. 이런 상처들을 위생적으로 처치하고 감염을 막기 위한 용품들은 구급함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소독 및 세척 용품

  • 소독약 (포비돈 요오드 또는 과산화수소)
  • 생리식염수 또는 깨끗한 물 (상처 세척용)
  • 알코올 솜 또는 소독 솜
  • 상처 보호 용품

    다양한 크기의 밴드

  • 일반 밴드, 방수 밴드, 대형 밴드 등 여러 종류를 구비합니다.
  • 작은 상처부터 큰 상처까지 대비할 수 있습니다.
  • 멸균 거즈와 반창고

  • 상처 부위를 덮고 보호하는 데 사용합니다.
  • 거즈를 고정할 수 있는 반창고도 필수입니다.
  • 압박 붕대

  • 염좌나 골절 시 부목 고정, 출혈 시 압박에 사용합니다.
  • 탄력 붕대도 함께 준비하면 좋습니다.
  • 2. 통증 및 해열 용품,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감기, 몸살, 두통, 열 등 갑작스러운 증상으로 인해 고통받을 때 통증과 열을 완화해 줄 약품들이 필요합니다. 특히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이라면 더욱 세심한 준비가 요구됩니다.

    해열진통제

  • 성인용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이부프로펜 계열)
  • 어린이용 해열제 (시럽 또는 좌약 형태)
  • 개인의 특성과 연령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 소화제 및 지사제

  • 소화불량, 체했을 때를 위한 소화제
  • 설사 시 복용하는 지사제
  • 여행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감기약 및 알레르기 약

  • 종합 감기약 또는 증상별 감기약
  • 알레르기 비염이나 피부 발진 시 복용하는 항히스타민제
  • 증상 주요 약품 비고
    발열/통증 해열진통제 성인용/어린이용 구분
    소화불량 소화제 액상/정제 다양하게
    알레르기 항히스타민제 졸음 유발 가능성 확인

    3. 특수 상황 대비 용품,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합니다

    일상적인 상처나 통증 외에도 화상, 곤충 물림 등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용품들도 구급함에 넣어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화상 처치 용품

  • 화상 연고 (스테로이드 성분 없는 것)
  • 멸균 드레싱 또는 습윤 밴드 (화상 전용)
  • 깨끗한 수건이나 거즈 (화상 부위 냉각용)
  •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약

  • 가려움증 완화제 (물파스, 버물리 등)
  • 벌에 쏘였을 때 응급처치 용품
  • 근육통 및 타박상 용품

  • 파스 (붙이는 파스, 뿌리는 파스)
  • 맨소래담 또는 멘톨 연고
  • 냉찜질 팩 (젤 형태 또는 즉석 냉찜질 팩)
  • 4. 응급 처치 도구, 신속한 대응을 돕습니다

    약품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응급 처치 도구들입니다. 약을 바르거나 상처를 소독할 때, 혹은 이물질을 제거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기본 도구

  • 가위 (붕대나 거즈 자를 때)
  • 핀셋 (가시, 파편 제거 시)
  • 체온계 (발열 확인용)
  • 위생 도구

  • 일회용 라텍스 장갑 (감염 예방)
  • 손 소독제 (비누와 물이 없을 때)
  • 마스크 (호흡기 보호)
  • 기타 용품

  • 응급처치 지침서 (간단한 응급 상황별 대처법)
  • 의료용 테이프 (붕대 고정 등)
  • 손전등 (어두운 곳에서 사용)
  • 5. 구급함 보관 및 관리, 언제나 준비된 상태로!

    구급함을 한 번 채워 놓았다고 끝이 아닙니다.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를 통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관 장소

  •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하며 건조한 곳에 보관합니다.
  •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어야 합니다.
  • 하지만 위급 시 성인이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합니다.
  • 유통기한 확인

  • 모든 의약품과 의료용품의 유통기한을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 유통기한이 지난 물품은 과감히 교체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

  • 최소 6개월에 한 번씩 구급함 내용물을 점검합니다.
  • 사용한 물품은 바로바로 보충하여 채워 넣습니다.
  • FAQ 자주하는 질문

    Q1. 구급함은 꼭 구매해야 하나요? 직접 만들어도 되나요?
    A. 시판 구급함을 구매하는 것도 좋지만, 직접 필요한 물품들을 모아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우리 가족의 특성과 자주 발생하는 사고 유형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Q2. 어린이용 약품은 따로 보관해야 하나요?
    A. 네, 어린이용 약품은 반드시 따로 보관하거나, 성인용과 명확히 구분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복용량이나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오남용을 막기 위함입니다.

    Q3. 비상 상비약 외에 개인적으로 복용하는 약도 구급함에 넣어두어야 하나요?
    A. 네, 만성 질환으로 인해 매일 복용하는 약이 있다면 소량이라도 구급함에 여분으로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Q4. 구급함에 들어있는 약품들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약품 포장이나 용기에 기재된 유통기한을 확인해야 합니다. 보통 'EXP' 또는 '제조일자'와 '유통기한'이 함께 표시되어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폐기해야 합니다.

    Q5. 구급함은 어디에 두는 것이 가장 좋나요?
    A. 구급함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하며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어린아이의 손이 닿지 않으면서도, 위급 상황 시 성인이 쉽게 찾을 수 있는 높은 곳이나 잠금장치가 있는 곳이 적합합니다.

    Q6. 구급함 점검은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 최소 6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구급함 내용물을 점검하고, 사용한 물품은 즉시 보충하여 항상 준비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비정기적으로라도 필요하다고 느낄 때마다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케빈

    일상 생활정보 공유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