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명칭과 날짜 총정리표로 한눈에 정리하기

24절기 명칭과 날짜 총정리표로 한눈에 정리하기

날씨가 바뀌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계절을 느낍니다. 하지만 예전에는 달력보다 더 정확하게 계절을 알려주는 기준이 바로 ‘24절기’였습니다. 농사를 짓는 조상들은 절기를 통해 씨 뿌릴 시기, 수확할 시기를 판단했죠. 지금은 잘 쓰이지 않지만, 여전히 우리 문화 속에는 24절기가 다양한 방식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절기의 이름과 시기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표로 정리했습니다. 전통을 이해하고, 계절의 흐름을 더 깊이 느끼고 싶은 분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1. 24절기란 무엇인가요?

절기의 의미와 기원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하여 계절을 나눈 체계입니다. 중국에서 기원했지만 한국 고유의 기후에 맞게 정착되어, 실생활 속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었습니다. 농사철을 알려주는 역할 외에도 풍습, 제사, 음식문화까지 깊게 영향을 끼쳤습니다.

절기의 배분 방식

24절기는 약 15일 간격으로 반복되며 계절의 흐름을 정리해 줍니다. 입춘부터 대한까지 순환하며 사계절의 시작과 중간, 끝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절기는 양력 날짜 기준으로 매년 비슷한 시점에 돌아옵니다.

2. 봄 절기 (입춘~곡우)

생명의 시작을 알리는 계절

봄 절기는 입춘(2월 4일경)을 시작으로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로 구성됩니다. 만물이 소생하고 농사의 밑그림을 그리는 시기죠. 특히 곡우는 씨앗 뿌리기에 적절한 절기로, 본격적인 농사의 출발점입니다.

3. 여름 절기 (입하~대서)

생장과 활기가 넘치는 절기

입하(5월 5일경)부터 시작되는 여름 절기는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로 이어집니다. 작물이 성장하고 날씨가 본격적으로 더워지는 시기입니다. 하지에는 낮이 가장 길고, 대서는 가장 더운 시기로 많은 일손이 필요했죠.

절기명 계절 날짜 특징
입춘 2월 4일 봄의 시작
곡우 4월 20일 씨 뿌리는 절기
하지 여름 6월 21일 낮이 가장 김
대서 여름 7월 22일 더위의 절정
.

4. 가을 절기 (입추~상강)

풍요와 수확의 계절

입추(8월 7일경)를 시작으로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까지 이어지는 가을 절기는 작물이 여물고 추수의 시기가 도래하는 절기입니다. 특히 추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며 계절의 균형을 상징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5. 겨울 절기 (입동~대한)

추위와 정리의 계절

겨울 절기는 입동(11월 7일경),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까지로 구성됩니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긴 날이며, 한 해의 끝을 정리하고 새해를 준비하는 전환점으로 여겨집니다. 팥죽을 먹으며 액운을 막는 전통이 남아있죠.

6. 24절기 날짜표로 정리하기

계절별 날짜 정리표

각 절기의 이름과 날짜를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캘린더나 콘텐츠 제작, 자녀 교육 시 활용하면 유익합니다. 아래 표로 확인해 보세요.

절기명 날짜 계절
입춘2월 4일
우수2월 19일
경칩3월 5일
춘분3월 20일
청명4월 4일
곡우4월 20일
입하5월 5일여름
소만5월 21일여름
망종6월 6일여름
하지6월 21일여름
소서7월 7일여름
대서7월 22일여름
입추8월 7일가을
처서8월 23일가을
백로9월 7일가을
추분9월 23일가을
한로10월 8일가을
상강10월 24일가을
입동11월 7일겨울
소설11월 22일겨울
대설12월 7일겨울
동지12월 22일겨울
소한1월 6일겨울
대한1월 20일겨울

FAQ 자주하는 질문

Q1. 24절기는 어떤 기준으로 정해졌나요?
A. 태양이 지나는 황도의 위치를 기준으로 15도씩 나누어 설정된 절기로, 약 15일 간격으로 새로운 절기가 시작됩니다.

Q2. 절기의 날짜는 매년 같나요?
A. 대체로 비슷하지만, 윤년에 따라 하루 정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력 기준으로 정리됩니다.

Q3. 한국에서는 절기를 어떻게 활용했나요?
A. 주로 농사 시기 판단, 제례일 설정, 전통 음식 준비 등 생활 전반에서 절기를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Q4. 24절기를 모두 외우는 팁이 있을까요?
A. 각 계절마다 시작과 끝을 기억한 뒤 15일 간격으로 유추하면 흐름이 쉽게 외워집니다.

Q5. 지금도 절기를 따로 챙기는 문화가 있나요?
A.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여전히 절기를 참고하며, 도시에서는 건강식이나 전통행사로 계승됩니다.

Q6. 아이에게 절기를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요?
A. 엑셀표나 절기 달력을 활용해 날짜와 계절을 연결시키고, 절기마다 관련 음식을 같이 만들어보는 체험이 효과적입니다.

케빈

일상 생활정보 공유

다음 이전